착한아이 증후군이란?
착한아이 증후군 혹은 착한아이 콤플렉스란 한마디로 말하면, 다른 사람에게 미움받을까봐 나의 감정보다 다른 사람의 기분을 먼저 챙기는 습관을 말합니다.
착한아이 증후군을 가진 사람 대부분이 어린 시절부터 주변 사람들의 기대에 맞춰 살아왔던 사람들입니다.
칭찬받기 위해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려고 거절도 못하고 조용히 참고 살아온 사람들입니다.
내 자신이 착한 사람이 아니면 사랑받지 못할까봐 두려워집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진짜 착함은 나를 희생해야 하는 미덕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진짜 성숙한 착함은 자신의 감정도 소중히 여기면서 남을 배려하는 것입니다.

착한아이 증후군을 벗어날 수 있는 훈련법을 소개합니다.
1. 거절 훈련 - 작은 거절부터 시작합니다.
착한아이 콤플렉스가 있는 사람은 '싫어요'를 입 밖에 내는 것 자체가 두렵습니다. 그래서 연습이 필요한 겁니다.
처음에는 아주 사소한 것부터 거절하는 연습을 합니다. 작은 거절이 쌓이면, 큰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거절을 표현할 힘이 생깁니다. 작고 일상적인 상황부터 연습해서 자연스럽게 몸에 익도록 하루에 한 문장이라도 실천해보세요.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 음식 권유 거절할 때
"지금은 괜찮아요. 고마워요."
"배가 불러서요. 다음에 먹을게요."
- 대화나 만남을 피하고 싶을 때
"지금은 좀 혼자 있고 싶어요. 이해해 주세요."
- 일이나 부탁을 거절해야 할 때
"죄송해요. 지금은 좀 어렵겠어요."
"이번엔 다른 분께 부탁드리고 싶어요."

2. '착해야 사랑받는다'는 믿음을 바꿔야 합니다.
무의식 속에 아주 뿌리깊게 자리잡은 이 신념을 바꾸는게 쉽지는 않습니다. '내가 착해야 사랑받고, 좋은 사람이어야만 사람들이 나를 좋아해준다.' 이 신념을 이렇게 한번 바꿔보세요.
'나는 그냥 있는 그대로 충분히 괜찮은 사람이야.'
'나를 존중하지 않는 사람의 인정은 필요 없어.'
처음엔 이런 신념 자체가 어색하고 믿어지지 않을 수도 있지만, 자기 자신에게 계속해서 말해주는 겁니다.
자기 확언은 '나를 나답게 받아들이는 말'입니다. 매일 아침이나 자기 전, 또는 마음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자기 자신에게 말해보세요.
자기 확언 문장 예시
- "나는 거절해도 좋은 사람이다."
-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지 않아도 나는 충분하다."
- "내 감정은 중요하다. 나는 나를 지킬 수 있다."
- "나는 착해야 사랑받는 게 아니다. 있는 그대로 소중하다."
- "나는 나답게 살 자격이 있다."
가장 마음에 와닿는 문장을 하나 골라서 매일 반복해보세요.

3.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나'를 허락하세요.
'거절하면 상대가 상처받을까봐'
'내가 나쁜 사람처럼 보일까봐'
이런 걱정이 많을수록 더 착한 역할에 갇히게 되는 것입니다.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다 나를 좋아할 수는 없고, 또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이제부터는 이런 걱정들을 한번 이렇게 바꿔보세요.
'나를 지키는 건 상대를 무너뜨리는 게 아니야.'
'내가 솔직해진다고 해서 모두가 날 싫어하진 않아.'

하루 5분 감정 정리 저널 쓰기 방법을 소개합니다.
아래 세 가지 질문에 짧게라도 써보면 효과가 아주 좋습니다. 핸드폰 메모앱이나 다이어리 혹은 종이에 써도 괜찮아요.
- 오늘의 감정 정리 질문:
1. 오늘 나를 불편하게 한 상황은 뭐였지?
-그때 무슨 일이 있었는지 간단히 써보세요.
2. 그 상황에서 나는 어떤 감정을 느꼈나?
-예: 억울했다, 눈치보였다, 무시당한 느낌이었다, 슬펐다 등
3. 내 감정을 솔직하게 말할 수 있었다면 뭐라고 말하고 싶었을까?
-예: "이건 나한테 좀 부담돼요.", "지금 제 마음도 좀 힘들어요." 등
이 세 가지 질문은 나의 감정을 정리하고 말로 표현하는 힘을 길러줍니다.
착한아이 콤플렉스를 고친다는 건 어릴 때부터 쌓여온 두려움을 하나씩 벗겨내는 과정입니다. 쉽지는 않지만 가능한 일입니다. 지금부터는 '좋은 사람'이 아니라 '진짜 나'로 살아봅시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 애착유형 테스트 - 나는 전세계 1% 혼란형 애착 유형이다(ft. 오은영 박사님이 가장 걱정하는 유형) (2) | 2025.06.29 |
---|---|
피해의식이 생기는 이유와 극복 방법, 감정 수용하기 (0) | 2025.05.05 |
나는 왜 거절하지 못할까? 자기 표현 강화 훈련법 (2) | 2025.05.02 |
의존성 성격의 특징과 자율성을 기르는 꿀팁 (2) | 2025.05.01 |
성인애착유형테스트 (0) | 2023.04.20 |
댓글